오늘 내용은 Terrafrom Up&Running(테라폼 업앤러닝) 책의 6장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인프라 란?기본적으로 개발이나 서비스를 하기 위에 물리적으로 구성된 Network, DB, Server, Cloud 등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물리적 장비를 의미한다.
구성요소
하드웨어 (HW) 서버, 데이터 센터, 개인용 컴퓨터, 라우터, 스위치 등 기타 장비가 포함 운영체제 (OS) 각종 하드웨어적인 자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스템을 이용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Network) 몇 개의 독립적인 장치가 적절한 영역 내에서 적당히 빠른 속도로 물리적 통신 채널을 통하여 서로가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데이터 통신 체계 미들웨어 (Middleware) Web Server, DBMS 등 운영체제와 비지니스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중간에서 도움을 주는 소프트웨어 프로덕션 수준의 인프라 란?
ElasticSearch란?“루씬(Lucene)이라는 검색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검색 엔진이다."
아파치 루씬 기반 아파치 루씬 은 자바로 개발된 검색 서비스용 라이브러리. 루씬은 전문 텍스트 검색(Full text search)에 특화되어 있어 문서가 색인될 때부터 검색 가능해질 때까지의 대기시간이 매우 짧다는 장점이 있다.
Restful API REST API 형태로 조작할 수 있다. 검색 및 분석 결과를 API 형태로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JSON 기반 JSON 형으로 모든 요청 및 응답 문서를 표현한다.
오늘은 Terraform용 CDK를 통해 Go언어를 사용하는 방법에대해 알아보려합니다.
우선 Terraform과 CDK가 무엇인지부터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Terraform이란?HashiCorp사가 만든 오픈 소스 “코드형 인프라(IaC)” 툴 입니다. 인프라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구축, 변경 및 버전화 할 수 있습니다.
선언적인 코딩 툴, HCL(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라고 불리는 상위 레벨 구성 언어를 사용하거나 또는 JSON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원하는 “엔드 상태”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기술하도록 합니다. 그런 다음 해당 엔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계획을 생성하고 인프라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계획을 실행합니다.
AWS Amplify Console에서 배포시 슬랙으로 알림을 받아보는 방법을 작성해보려고한다.
현재 AWS Amplify Console User Guide 을 보면 이메일 알림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이를통해 만들어진 SNS 주제를 통해 Slack과 같은 다른 도구에 알림을 보내는 데 활용할 수 있다.
email notification 생성 Amplify 콘솔을 연다.
Email 알림을 설정할 앱을 선택합니다.
App settings > Notifications > Manage notifications 을 클릭한다. 알림을 받을 Email을 입력하고, 배포 알림을 받을 대상 브랜치를 선택 후 Save한다.
Netflix Tech Blog 60초 내에 Linux 성능 분석 에서 리눅스 명령어를 통해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온다.
번역과 함께 읽으며 내가 찾아본 내용들을 같이 추후 참고용으로 기록해두려고한다.
아래 명령어들을 사용해 60초 안에 리눅스 환경에서 CLI를 이용해 어떤 것들을 확인할지 순서대로 알아보자. 일부 명령어는 sysstat 패키지를 설치해야한다.
1 2 3 4 5 6 7 8 9 10 $ uptime $ dmesg | tail $ vmstat 1 $ mpstat -P ALL 1 $ pidstat 1 $ iostat -xz 1 $ free -m $ sar -n DEV 1 $ sar -n TCP,ETCP 1 $ top 자세히 알아보기uptime1 2 $ uptime 23:51:26 up 21:31, 1 user, load average - 30.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도메인에 Record를 추가하면서 겪었던 이슈에 대해 기록해보려고한다.
최소한 아래 5가지에 대한 개념은 알고 있어야하기에 간단히 짚고 넘어가보자.
Domain
인터넷에 연결되어있는 장치(컴퓨터, 서버, 스마트폰 등)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인 IP를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어렵기때문에 IP에 이름을 부여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하였는데 이때 부여한 이름이 도메인이다. e.g) google.co.kr, naver.com
DNS
Domain Name System으로 전화번호부라고 생각하면된다. 도메인과 IP의 쌍(pair)을 가지고있어 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메인-IP에 대한 쌍을 하나의 Record(Record)라 한다.